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|||
5 | 6 | 7 | 8 | 9 | 10 | 11 |
12 | 13 | 14 | 15 | 16 | 17 | 18 |
19 | 20 | 21 | 22 | 23 | 24 | 25 |
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
- 싸피 면접 후기
- 싸피
- 동기화
- floyd-warshall
- 서버 호스팅
- 프록시서버
- Proxy
- 웹 호스팅
- 다익스트라 알고리즘
- SSAFY
- 세마포어와 뮤텍스의 차이
- 호스팅
- 세마포어와 뮤텍스
- 프록시
- 플로이드 워셜
- 플로이드 와샬
- Proxy Server
- 호스팅이란?
- 최단 경로
- Dijkstra Algorithm
- Synchronization
- 클라우드 서버
- 뮤텍스란?
- 세마포어
- 다익스트라
- 싸피 합격
- 세마포어란?
- 뮤텍스
Archives
- Today
- Total
어제의 나보다 성장한 오늘의 나
교착상태(DeadLock)가 무엇인가? 본문
위의 글에서 설명했듯이 멀티 프로세스와 멀티 스레드 프로그래밍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슈인 데드락에 대해 알아보자!
개념
- 데드락이란, 두 개 이상의 작업이 서로 상대의 작업이 끝나기만을 기다리느냐 결국 모두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상태
- t1 : 프로세스 1이 자원1을 얻었고 프로세스 2가 자원 2를 얻었다.
- t2 : 프로세스 1은 자원 2를 기다리고 프로세스2는 자원 1을 기다린다.
- 서로 원하는 자원이 상대방에 할당되어 있어서 두 프로세스는 무한정 wait 상태에 빠지게 된다.
위의 설명만으로는 조금 부족할 수 있다. 그렇다면 정확히 어떤 조건을 만족하면 교착상태에 빠지는지 대해 보도록 하자
발생조건
- 발생조건은 총 4가지가 있고 4가지 모두 성립해야 데드락이 발생
- 반대로 보면 하나라도 성립하지 않으면 데드락 문제 해결이 가능하다는 뜻이 된다.
- 상호 배제 (Mutual Exclusion) - 자원의 특성
- 프로세스 간의 공유 자원은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할당된다. 즉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없다.
- 점유 대기 (Hold and Wait) - 프로세스의 특성
-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점유하면서, 다른 공유 자원을 얻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.
- 프로세스 1이 자원 B를 점유하고, A를 사용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고 가정해본다. 동시에 다른 프로세스 2는 B를 사용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상황! 프로세스 2는 1의 작업이 끝날 때까지 대기할 수밖에 없다.
- 비선점 (No poreemption) - 자원의 특성
- 프로세스가 한 자원을 점유하고 있으면 다른 프로세스가 뺏을 수 없다.
- 순환 대기 (Circular Wait) - 프로세스의 특성
- 다른 프로세스의 자원을 가지기 위해 대기하는 상황이 동그란 형태로 만들어 진 것 (사이클) 즉! 프로세스의 집합에서 순환 형태로 자원을 대기하고 있어야 한다.
위 내용을 정리하면 상호배제에 의해 한 번에 프로세스 하나만 자원을 사용할 수 있고 비선점 특성으로 다른 프로세스는 강제로 자원을 빼앗을 수 없다. 여기서에서 서로 다른 공유 자원을 얻기 위해 점유 대기 상태가 되게 되는데 그 형태가 순환 대기를 띄어야 한다.
그렇다면 위에서 얘기 했듯이 발생조건 중 하나라도 해결하게 된다면 데드락이 안 걸리게 된다. 그 해결법은 크게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.
-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(prevention) 하기
- 데드락 발생 가능성을 인정하면서도 적절하게 회피(avoidance) 하기
- 데드락 발생을 허용하지만 데드락을 탐지(detection)하여, 데드락에서 회복하기
1. 데드락 예방(prevention)
- 데드락의 발생조건 중 하나라도 발생하지 않게 하여 예방하는 방법
- 각각의 조건을 방지(부정)하여 데드락 발생 가능성을 차단한다.
- 하지만 시스템의 처리량이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비현실적이다!
- 자원의 상호 배제 조건 방지 : 모든 자원을 공유하는 것을 허용
- 동기화 관련 문제 발생
- 점유 대기 조건 방지 : 필요자원을 한 번에 모두 할당하는 한다.
- 필요하지 않은 순간에도 자원을 가지고 있는다.
- 비선점 조건 방지 : 모든 자원에 대해 선점을 허용한다.
- 다른 자원을 요구할 때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반납 하는 과정에서 자원 낭비가 심하다.
- 순환 대기 방지 : 자원에 고유한 번호를 할당하고, 번호 순서대로 자원을 요구하도록 한다.
- 프로세스 순서의 증가 방향으로만 자원을 요청한다.
2. 데드락 회피(Avoidance)
- 교착 상태 발생시 피해 가는 방법
- 회피에서는 안정 상태(Safe State)와 불안정 상태(Unsafe State)가 있다.
- 안정 상태 : 시스템이 어떤 순서든 교착 상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프로세스들이 요청하는 모든 자원을 할당해 줄 수 있는 상태이며 이처럼 특정한 순서로 프로세스들에게 자원을 할당, 실행 및 종료 등의 작업을 할 때 데드락이 발생하지 않는 순서를 찾을 수 있다면, 그것을 안전 순서(Safe Sequence)라고 부른다.
- 불안전 상태 : 안전 순서열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, 즉! 데드락 발생 가능성이 있는 상황
- 불안정 상태가 교착 상태보다 좀 더 큰 집합( 교착 상태가 불안정 상태의 부분집합)
- 교착 상태는 불안정 상태이지만, 불안정 상태는 교착 상태가 아닐 수 도 있다.
이처럼 회피 알고리즘은 자원을 할당한 후에도 시스템이 항상 Safe State에 있을 수 있도록 할당을 허용하자는 것이다. 이러한 특징을 잘 살린 알고리즘으로 은행원 알고리즘이 있다.
은행원 알고리즘(Banker's Algorithm)
- 프로세스에서 리소스 요구 시 프로세스에 리소스를 할당한 후에도 이상이 없으면 리소스를 할당하고 그렇지 않으면 할당하지 않는다.
- 안정 상태가 될 것이 100%로 보장되는 경우에만 요청을 받아들인다.
- 은행에 2000원이 있고, 고객 3명이 동시에 대출을 요청하는 상황이라고 가정해보자
- 이때 현재 가지고 있는 자원인 2000원으로 안정 상태를 만들 수 있는 고객은? A와 C이다.
- 이렇게 현재 가지고 있는 자원으로 안전 상태를 만들 수 있는 경우에만 자원을 할당해준다.
문제점
- 할당할 수 있는 자원의 수가 일정해야 한다.
- 사용자 수가 일정해야 한다.
- 항상 불안전 상태를 방지해야 하므로 자원 이용도가 낮다.
- 최대 자원 요구량을 미리 알아야 한다.
- 프로세스들은 유한한 시간 안에 자원을 반납해야 한다.
위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실제 돌아가는 프로그램에 적용하기가 어렵다.
3. 탐지(Detection) 및 회복(Recovery)
- 데드락이 발생하면 빠르게 발견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
탐지 기법
- Allocation, Request, Available 등으로 시스템에 데드락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탐색한다.
- 이외에도 RAG(Resource Allocation Graph)라는 그래프의 Graph reduction 방법을 사용해서 알 수 있다.
회복 기법
- 데드락을 발견했다면, 순환 대기 조건에서 벗어나 데드락으로부터 회복하기 위한 방법
- 프로세스 종료 방법
- 교착 상태의 프로세스를 모두 중지
- 교착 상태가 제거될 때까지 하나씩 프로세스 중지 및 재시작
- 자원 선점 방법
- 데드락 상태 해결을 위해 선점할 자원을 선택
- 데드락 상태의 프로세스가 점유하고 있는 자원을 선점해서 다른 프로세스에게 할당
출처
'CS > 운영체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운영체제] 동기화 Synchronization , Race condition (0) | 2021.04.24 |
---|---|
스케줄러의 종류(장기스케줄러, 중기스케줄러, 단기스케줄러) (0) | 2021.04.24 |
운영체제의 CPU 스케줄링 (0) | 2021.04.22 |
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(0) | 2021.04.21 |
운영체제의 개요 (1) | 2021.04.21 |
Comments